이중환전은 기준통화에서 중간통화로, 중간통화에서 대상통화로 총 2번에 걸쳐 환전합니다.
환전계산기는 단순 참고용으로 위 계산결과는 환율변동 또는 우대율 적용에 따라 실제 거래 시 적용되는 환율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준시간 : {{ compareCurrencyDate() }}
{{ getCurrencyInput(Base) }} {{ getCurrencyName(Base) }}
=
{{ getCurrencyInput(Quote) }} {{ getCurrencyName(Quote) }}
1 {{ getCurrencyCode(Quote) }}
=
{{ getCurrencyRate() }}
기준시간 : {{ compareCurrencyDate() }}
{{ getCurrencyInput(Base) }} {{ getCurrencyName(Base) }}
=
{{ getCurrencyInput(Middle) }} {{ getCurrencyName(Middle) }}
{{ getCurrencyInput(Middle) }} {{ getCurrencyName(Middle) }}
=
{{ getCurrencyInput(Quote) }} {{ getCurrencyName(Quote) }}
1 {{ getCurrencyCode(Quote)}}
=
{{ getCurrencyRate() }}
지폐 수량 금액
{{ comma(currencyBill.price) }} {{ currencyBill.name }} {{ comma(calculateAmount(currencyBill)) }} {{ currencyBill.name }}
나머지 {{ getRest() }} {{ getCurrencyName(Quote)}}
화폐 금액 원화 환산
{{ comma(currencyBill.price) }} {{ currencyBill.name }} {{ changeKRW(currencyBill.worth) }}
(0/300자)
환율계산기는 실시간 환율을 기반으로 환산금액을 계산합니다.
  • 기준통화와 상대통화를 선택하고 기준통화 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 다양한 상대통화를 함께 보고 싶다면 + 버튼을 눌러서 상대통화를 추가하시면 됩니다.
환율이란?
환율은 두 나라의 통화가치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그런데 환율을 표시할 때는 어떤 통화를 기준점으로 삼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준점이 되는 통화를 기준통화, 기준통화가 아닌 통화를 상대통화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미국 달러를 기준통화로 사용합니다. 즉 USD/KRW는 1달러를 기준으로 할 때 한화로는 얼마인지를 표시하는 표기입니다.

환율표기

환율과 물가
환율은 물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비싸지고, 환율이 하락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싸집니다. 예를 들어, 한국 돈 1,000원이 미국 달러로 환산할 때 1달러에 1,000원이었다가 1달러에 1,200원이 되었다면, 수입품의 가격은 20% 상승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미국 달러로 결제하는 수입품의 가격이 1달러당 200원 더 비싸졌기 때문입니다.
환차손과 환차익
환율이 변동하면 환전을 통해 손해를 보거나 이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환전을 통해 손해를 보는 것을 환차손, 이익을 보는 것을 환차익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 돈 1,000원을 미국 돈 1달러로 환전을 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후 1달러의 가치가 한국 돈으로 1,200원이 되었을 때 바꾼 1달러를 다시 한국 돈으로 환전한다면 1,200원을 받게 되고 이때 200원의 환차익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1달러의 가치가 한국 돈으로 800원이 되었을 때 다시 한국 돈으로 환전한다면 200원의 환차손을 보게 됩니다. 환차손과 환차익은 환율의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므로, 환율의 변동 추이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율우대율
환율우대율은 은행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환율 할인율을 말합니다. 환율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데, 은행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환율우대율을 제공합니다. 환율우대율은 환전 금액, 환전 방법, 환전 지점, 고객의 거래 실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환율우대율을 적용받는 방법 또한 은행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은행별 환율우대율을 비교하여 유리한 조건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환율 ( 換率 , rate of exchange )

화폐간 교환비율. 두 화폐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낸다. 만약 미화 1달러를 얻기 위하여 1,000원을 지불한다면, 1달러당 1,000원이 우리 나라 원화의 대미달러 환율이 된다.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평가) 절하(depreciation), 화폐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평가) 절상(appreciation)이라고 한다.

전신환(Telegraph Transfer) ( 電信換 , telegraphic transfer (TT) )

전신환(telegraph transfer)을 줄여 TT라고도 부르며 외국환을 매매할 때 외화의 송금을 전신으로 위탁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신환은 신용장과 같은 서류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절차가 간편하며, 현금이 오가는 대신 통장간 입금이나 이체로 대체되기 때문에 수수료가 낮다.

고정환율제도 ( 固定換率制度 , fixed exchange rate system )

환율 변동을 인정하지 않거나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켜서 안정을 꾀하는 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는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경제활동의 안정성이 보장되어 대외거래를 촉진시키고, 국내 인플레이션과 신용확대에 쉽게 대처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환율 변동에 의한 자동적 국제수지를 조정할 수 없고 대외부문의 충격이 국내경제를 불안정하게 한다는 단점도 있다.

변동환율제도 ( 變動換率制度 ,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

환율이 외환시장 등에서 자유롭게 결정되는 제도. 이론적으로 변동환율제도는 외환시장에서 수요와 공급 간에 불일치가 발생할 때 환율이 즉각적으로 조정되어 균형을 회복하므로 국제수지가 항상 균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변동환율제도에서는 국제수지 불균형에 따른 통화량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각국의 환율제도는 고정환율제도와 변동환율제도를 절충한 환율제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기본적으로 고정환율을 유지하더라도 일부 환율의 변화를 인정하는 조정가능 고정환율제도나 기본적으로 변동환율제도를 유지하되 필요에 따라 정부가 개입하는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는 국가가 많다.

매매기준율 ( 買賣基準率 , Basic rate of exchange )

외환은행이 고객과 원화를 대가로 미 달러화를 매매할 때 기준이 되는 환율 또는 외국환 중개회사를 통해 거래된 미 달러화의 현물환 거래 환율을 거래량으로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환율을 의미한다.